반응형 IT/Network (네트워크)17 IP 라우팅 정의 및 IP 라우팅을 위한 요소, 라우터 스위칭 방식 IP라우팅이란 라우터의 데이터 전송 처리 방식이며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여 출력쪽의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IP 라우팅을 하기 위해서는 목적지까지의 경로(route)를 학습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출(elect)한 다음, 라우팅 프로토콜 특징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즉, 라우터도 스위칭을 하며 여기서 스위칭이란 라우터의 특정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패킷을 목적지에 가까운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라우터의 스위칭 방식에는 프로세서 스위칭, 패스트 스위칭, CEF(Cisco Express Forwarding) 스위칭 총 3가지가 있다. IP 라우팅 1. IP 라우팅이란? - 라우터의 데이터 전송 처리 방식이다. -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참조하여.. 2023. 5. 4. 패킷 트레이서 실습을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static routing protocol 패킷 트레이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 설정에 대한 복습과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static routing protocol)에 대해 알아보고 직접 설정 구성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또한, static routing protocol 특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 static routing protocol 특징 : 1.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고 2.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경로를 입력을 해주며 3.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 적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1. 패킷 트레이서 기본 설정 복습 문제 1) 라우터 R-1 설정 en conf t ho R-1 no ip domain-lookup ! int lo 172 ip addr 172.16.1.1 255.25.. 2023. 4. 23. 패킷 트레이서 기본 설정 문제 풀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패킷트레이서를 통해 스위치와 라우터 기본 구성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문제를 한 번 풀어보겠습니다. 조건 1 :두개의 라우터(2621XM)를 올리고 WIC-2T 모듈을 창작 후 아래 내용을 설정 하시오. - R1 : s0/0 - R2 : s0/1 로 연결하시오. - R1 라우터 설정 내용 1. 이름 : R1 2. enable 암호는 CCNA 3. secret 암호는 CCNA 4. 콘솔 접속 암호는 1234 5. 텔넷접속 암호는 1234 6. 모든 패스워드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 하시오. - R2 라우터 설정 내용 1. 이름 : R2 2. enable 암호는 CCNP 3. secret 암호는 CCNP 4. 콘솔 접속 암호는 1234 5. 텔넷접속 암호는 123.. 2023. 4. 10. 패킷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스위치 라우터 기본 구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접 명령어를 타이핑해보면서 라우터와 스위치를 구성해서 통신까지 해보겠습니다. 명령어를 복사 붙여 넣기 하지 마시고 그대로 따라서 한 번 타이핑해보세요! ● 기본 설정에 대한 복습 및 적용 sh interface conf t int fa0/0 ip addr 13.13.13.1 255.255.255.0 ( src – dst ) ip addr 13.13.13.2 255.255.255.0 secondary -> 패킷 트레이서에서는 안먹히는 명령어, GNS3에서 됨 no ip addr 13.13.13.1 255.255.255.0 no ip addr : IP가 하나만 입력되어 있을 때 사용 no shut : 포트 활성화 (포트를 열어줌) ▶Line protocol on Interface Fast.. 2023. 4. 10. 패킷 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기본 설정 네트워크 국비 교육을 들을 때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 기본 실습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전공자로서 대학교에서 이론만 수강했지 이게 어떻게 통신되고 라우터가 뭔지, 스위치가 뭔지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는데 이러한 실습 과정을 통해 많은 이해가 되었습니다. 덕분에 대기업에서 IT 운영 기획 직무를 담당하고 있지요. 그래서 도움이 될만한 글을 작성하고 싶었습니다. 예전에 필기 해놓은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여 올립니다. 혹시나 틀린 글이나 모르는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패킷 트레이서 기본 설정 및 용어 - Router > 사용자 모드 1-15 레벨 , 15는 관리자 - 자동완성기능 ( 탭키 ) - 정상동작 확인. - Router > enable ( en 으로 타이핑 가능) - Router# : 관리자.. 2023. 4. 9. IT 인프라 네트워크 기초 용어 및 간략 정리(정보처리기사/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 필수) 해당 포스팅은 네트워크 보안 국비지원 교육을 받으면서 선생님께서 네트워크 관리사 취득을 위한 이론을 정리해주신 내용입니다. 이것들만 보셔도 취득하시는데 많은 도움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 용어이니 개괄적으로 내용을 알고 싶은 분들도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아, 이런게 있구나 하는 생각에서부터 시작해보시죠! ◆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 회선연결 -> 링크설정 -> 데이터 전송 -> 링크해제 -> 회선해제 ◆ PCM방식 : 아날로그 신호 ->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 디지털 신호 ◆ IEEE 802 표준 - IEEE 802.11 : 무선 LAN -> 802.11n : 100Mbps이상의 전송속도 제공(와이파이) - IEEE 802.15 : 무선 PA.. 2023. 4. 9. 네트워크 기본 프로토콜 종류와 통신 기초 용어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해 주는 ARP,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하는 ICMP,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인 SNMP, 원격접속 프로토콜인 SNMP, IP 주소를 호스트 네임으로 변경해 주는 DNS, IP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DHCP 등 기본적인 이론 학습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1. 프로토콜 종류 가.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1) 호스트의 IP Address(논리적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장치의 MAC Address(물리적 주소)로 번역 2) IP Address가 중복되어 사용되는지 찾을 수 있다. * RARP(Reverse ARP) : MAC Addrss를 IP 주소로 변환(물리적 주소->논리적 주소) 나. ICMP ( Internet C.. 2023. 4. 5.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의 기본 UDP/TCP/IP/OSI 7 Layer - 해당 포스팅에서는 UDP와 TCP 프로토콜의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를 통해 어디에 사용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TCP/IP 4 Layer와 OSI 7 계층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 비신뢰성,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 데이터그램 형태로 통신합니다. - 헤더구조 1) Source Port : 송신 측 응용 프로세스 포트 번호 필드 2) Destination Port : 데이터를 받는 수신 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번호 필드 3) Checksum : 오류 검사를 위한 필드, 전송 중에 세그먼트가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Length : UDP 헤더와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 데이터 그램의.. 2023. 4.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