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트레이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 설정에 대한 복습과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static routing protocol)에 대해 알아보고 직접 설정 구성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또한, static routing protocol 특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 static routing protocol 특징 : 1.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고 2.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경로를 입력을 해주며 3.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 적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1. 패킷 트레이서 기본 설정 복습 문제
1) 라우터 R-1 설정
en
conf t
ho R-1
no ip domain-lookup
!
int lo 172
ip addr 172.16.1.1 255.255.255.0
!
int fa0/0
no sh
ip addr 13.13.10.1 255.255.255.0
!
int s0/0
no sh
ip addr 13.13.12.1 255.255.255.0
clock rate 64000
end
!
* no ip domain-lookup : 명령어를 잘못 입력해도 그냥 넘어가게끔 하는 명령어이다.
2) 라우터 R-2 설정 ( 루프백 x )
en
conf t
ho R-2
no ip domain-lookup
!
int s0/1
no sh
ip addr 13.13.12.2 255.255.255.0
!
int fa0/0
no sh
ip addr 13.13.20.1 255.255.255.0
!
int s0/0
no sh
ip addr 13.13.23.2 255.255.255.0
clock rate 64000
end
!
3) 라우터 R-3 설정
en
conf t
ho R-3
no ip domain-lookup [ ctrl + shift + 6 ]
!
int lo 172
no sh
ip addr 172.16.3.1 255.255.255.0
!
int fa0/0
no sh
ip addr 13.13.30.1 255.255.255.0
!
int s0/1
ip addr 13.13.23.3 255.255.255.0
no sh
!
end
!
- R1 R2 R3 라우터에 시간 종료 해제
en
conf t
line con 0
exec-timeout 0 0
end
copy r s
- 패킷 트레이서에서 통신 속도
10M = e0/0
100M = fa0/0 f0/0
- 패킷 트레이서에서 포트번호 예시
ex) s0/0
s : 시리얼 / 0 :앞 슬롯번호 / 0: 포트번호
2. 정적 경로 ( static routing )란? 경로를 정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동적 경로 : 라우터가 알아서 통신 상황을 보고 최적의 길을 찾아서 가는 것을 의미한다.
1) static routing protocol의 장점
- 관리자에 의해서 직접 경로를 일일이 입력한다.
-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 신뢰성이 좋다. [1/0] [0~255]
- 변화가 적은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2) static routing protocol의 단점
- 변화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들다.
- 대규모 이상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
3) static routing protocol 설정 방법
- en / conf t
Router(config)# ip route 목적지 NI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
13.13.20.0 255.255.255.0 13.13.12.2
- 목적지는 자신에게 연결이 안 된 가고자 하는 모든 네트워크
- 여기서 게이트웨이는 첫 번째 관문 즉, 다음 hop을 의미한다
4) static routing protocol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 이해하기
1) R1 설정
R-1(config)#ip route 13.13.20.0 255.255.255.0 13.13.12.2
R-1(config)#ip route 13.13.23.0 255.255.255.0 13.13.12.2
R-1(config)#ip route 172.16.3.0 255.255.255.0 13.13.12.2
R-1(config)#ip route 13.13.30.0 255.255.255.0 13.13.12.2
2) R2 설정
R-2(config)#ip route 172.16.1.0 255.255.255.0 13.13.12.1
R-2(config)#ip route 13.13.10.0 255.255.255.0 13.13.12.1
R-2(config)#ip route 13.13.30.0 255.255.255.0 13.13.23.3
R-2(config)#ip route 172.16.3.0 255.255.255.0 13.13.23.3
3) R3 설정
R-3(config)#ip route 13.13.20.0 255.255.255.0 13.13.23.2
R-3(config)#ip route 13.13.12.0 255.255.255.0 13.13.23.2
R-3(config)#ip route 13.13.10.0 255.255.255.0 13.13.23.2
R-3(config)#ip route 172.16.1.0 255.255.255.0 13.13.23.2
4) 결과 테이블 해석하기
- sh ip ro static : static routing protocol의 테이블 보여달라는 의미의 명령어이다.
S 13.13.20.0 [1 / 0] via 13.13.12.2
프로토콜 목적지NI 신뢰도 메트릭 게이트웨이
- 라우터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할 경로의 신뢰도를 의미한다.
- 범위 : 0~255 (숫자가 작을수록 신뢰도는 높다.)
Connected 0
Static 1
EIGRP 90
OSPF 110
RIP 120
- 다음 목적지를 모를 때 사용하는 기본기본 정적경로 설정
ip route 0.0.0.0 0.0.0.0 게이트웨이 부분은 직접 입력
: 반드시 끝부분에 있는 라우터에서만 설정 가능
ex: 1.3번 가능
- 만약에 2번 라우터에 설정 후 핑 테스트를 하면 ! . ! . ! 또는 . ! . ! . 이 나온다.
- 패킷이 첫 번째는 R1으로 두 번째는 R3, 이런 식으로 진행이 된다
- R1 라우터에서 정적경로 삭제 : 설정에서 맨 앞에 no 추가하면 된다.
no ip route 13.13.20.0 255.255.255.0 13.13.12.2
no ip route 13.13.23.0 255.255.255.0 13.13.12.2
no ip route 13.13.30.0 255.255.255.0 13.13.12.2
no ip route 172.16.3.0 255.255.255.0 13.13.12.2
- R1 기본 정적경로 설정 후 ping test
sh ip ro
S* 0.0.0.0/0 [1/0] via 13.13.12.2 [S* 은 기본정적경로 설정]
ping 13.13.20.1
ping 13.13.30.1
ping 172.16.3.1
3. 패킷 트레이서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점검 문제
1) R1의 정적 경로 설정
ip route 172.16.2.0 255.255.255.0 192.168.12.2
ip route 10.10.20.0 255.255.255.0 192.168.12.2
ip route 192.168.23.0 255.255.255.0 192.168.12.2
ip route 172.16.3.0 255.255.255.0 192.168.12.2
ip route 10.10.30.0 255.255.255.0 192.168.12.2
2) R2의 정적 경로 설정
ip route 172.16.1.0 255.255.255.0 192.168.12.1
ip route 10.10.10.0 255.255.255.0 192.168.12.1
ip route 10.10.30.0 255.255.255.0 192.168.23.3
ip route 172.16.3.0 255.255.255.0 192.168.23.3
3) R3의 기본 정적 경로 설정 ( 디폴트, 목적지 모를 때 )
ip route 0.0.0.0 0.0.0.0 192.168.23.2
'IT > Network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및 통신 방식 (0) | 2023.05.06 |
---|---|
IP 라우팅 정의 및 IP 라우팅을 위한 요소, 라우터 스위칭 방식 (0) | 2023.05.04 |
패킷 트레이서 기본 설정 문제 풀기 (0) | 2023.04.10 |
패킷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스위치 라우터 기본 구성 (0) | 2023.04.10 |
패킷 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기본 설정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