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Network (네트워크)17

OSPF 프로토콜 정의 및 동작과정 OSPF는 모든 라우터가 모든 링크의 정보를 파악하여 최단 경로를 선출하는 링크 스테이트 프로토콜이다. SPF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메트릭 값을 계산하며 classless 특징을 가진다. OSPF에서 DR, BDR을 선출하는 것이 핵심이며 초기 연결 후에 패킷의 상세 정보를 교환한다. OSPF에서 라우터 ID를 선출하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있으며 명령어를 통해 직접 입력한 ID, 루프백 주소의 IP, 물리적 인터페이스의 IP가 있다. - 목차 - 1. OSPF 정의 및 특징 2. OSPF Router ID 선출 방법 3. OSPF 실습 4. 메트릭에 따른 경로 선출 5. OSPF 동작과정 6. OSPF 라우팅 테이블 7. OSPF 네이버 성립 조건 OSPF(Open Shrotest Path First) 1.. 2023. 5. 23.
와일드카드 마스크 문제 풀이로 쉽게 이해하기 와일드 마스크는 서브넷 마스크보다 네트워크 주소를 구분하는데 더 정교한 값이며, 서브넷 마스크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공통 비트가 1이고 와일드 마스크는 공통 비트가 0이다. 이러한 와일드 마스크 개념이 나타난 이유는 네트워크 주소를 접근하기 위한 ACL에서 사용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와일드 카드 마스크 정의 및 특징 - IP 주소 혹은 네트워크 주소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값이며 서브넷 마스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일정하지 않은 규칙을 보인다. 하지만 서브넷 마스크보다 더 정교하고 효율적이다. - 서브넷 마스크는 공통 비트가 1이고 와일드 마스크는 공통 비트가 0이다. - 주소값을 2진수로 변환했을 때, 서브넷 마스크는 무조건 앞에서 1이 채워져 나가야한다. - 와일드마스크 계.. 2023. 5. 13.
EIGRP 프로토콜 정의 및 특징 EIGRP는 불안정한 라우팅을 최소화하는데 최적화된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변화가 있을 때만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트리거드(Triggered)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한다. EIGRP도 RIPv2와 마찬가지로 md5를 이용하여 보안적인 측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EIGRP는 FD 메트릭 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출하는데, FD 메트릭 값이 작은 링크가 최적의 경로로 선출이 되고 그다음 값이 후속 경로로 선출된다. 후속 경로는 백업 경로의 개념으로 보면 된다. 후속 경로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FD 메트릭 값과 다른 링크의 AD 메트릭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후속 경로는 선출되지 않는다. FD 메트릭 값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거리에 대한 값을 의미하고 AD 메트릭 값은 인접한 다음 라우터에서 목.. 2023. 5. 8.
RIPv2 설정 및 특징 RIPv2는 버전 1과 마찬가지로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IGP 프로토콜이다. RIPv1과 차이점으로는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no auto summary 방식이다. 또한, 서브넷 마스크를 인식하는 classless routing protocol이다. RIPv1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MD5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보안적인 측면을 더욱 강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업데이트 정보에 변화가 있을 때만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트리거드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트리거드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면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회선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홉 카운트를 최대로 만들어서 주변 라우터에게 광고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2023. 5. 7.
RIPv1 설정 및 특징 RIP에는 RIPv1, RIPv2 이렇게 총 2가지 버전이 있다. 그중, RIPv1의 특징은 Distance Vecot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송을 하고 네트워크를 처리할 때 Classful routing protocol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을 하며, RIP의 가장 큰 특징은 자신의 네트워크만 advertisement 하면 된다는 것이다. RIPv1의 업데이트 방식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이며 30초 단위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RIPv1은 라우터에 연결된 링크 속도가 아닌 오로지 라우터의 개수 즉, 홉의 개수만 참고하여 패킷 전송을 한다. RIPv1의 균등 로드 분산은 홉의 개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데 비효율적인 균등 로드 분산을 막기 위해서는 속도가 낮은 링크에 연결된 인.. 2023. 5. 7.
라우팅 테이블 해석하는 방법 - 라우팅 테이블 해석 우선, 패킷 트레이서로 R1에 접속하여 아래 컨피그를 친다. R1#sh ip ro * 약어 참고(Codes) : C - connected, S - static, R - RIP, M - mobile, B - BGP, D - EIGRP, EX - EIGRP external, O - OSPF, IA - OSPF inter area 1.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2. 패킷을 전송/수신하는 포트 IP 3. 신뢰도[AD] 4. 매트릭스 값 5. 넥스트 홉 IP 6. 업데이트 후 경과된 시간(프로토콜마다 다르다) 7. 연결된 포트 - 신뢰도 값(AD 값) connect – 0 static – 1 eigrp – 90 igrp – 100 ospf – 110 ripv1,v2 – 120 - 같은 네트워크.. 2023. 5. 6.
패킷 트레이서를 이용한 라우팅 테이블 검사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롱기스트 매치룰, 신뢰도, 매트릭 총 3가지가 있다. 먼저 롱기스트 매치룰을 확인하여 검사하고 같다면 신뢰도를 확인하고 신뢰도마저 같다면 매트릭 값을 확인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1. 라우팅 테이블 검사 순서 : 롱기스트 매치룰 - 신뢰도 - 매트릭 #sh ip route : 테이블 확인 컨피그 1) 롱기스트 매치룰 (Longest Match Rule) Ex) 목적지가 '172.16.1.1'인 패킷은 다음 중 어떤 경로를 이용하는가? 2번 ① S 172.16.1.0/24 [1/0] via 13.13.12.2 ② S 172.16.1.0/26 [1/0] via 13.13.14.4 ▶ 네트워크 비트가 더 큰 경로를 선택한다. - 패킷 트레이서 실습.. 2023. 5. 6.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및 통신 방식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라우팅 프로토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방식과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에서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오로지 거리만 보고 통신하는 distance vector 알고리즘과 연결된 링크의 구체적인 정보까지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link state 알고리즘이 있다.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이용한 방식에는 IP 정보의 클래스를 고려하여 통신하는 classful routing protocol과 IP 클래스는 무시하고 오로지 서브넷 마스크만 참조하여 통신하는 방식인 classless routing protocol이 있다. 1. 라우팅 프로토콜 - 용도 : 라우팅 업데이트 및 동적 경로(dynamic route) 선출/관리 - 사용 권장 하지 않는.. 2023. 5.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