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롱기스트 매치룰, 신뢰도, 매트릭 총 3가지가 있다. 먼저 롱기스트 매치룰을 확인하여 검사하고 같다면 신뢰도를 확인하고 신뢰도마저 같다면 매트릭 값을 확인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1. 라우팅 테이블 검사 순서 : 롱기스트 매치룰 - 신뢰도 - 매트릭
#sh ip route : 테이블 확인 컨피그
1) 롱기스트 매치룰 (Longest Match Rule)
Ex) 목적지가 '172.16.1.1'인 패킷은 다음 중 어떤 경로를 이용하는가? 2번
① S 172.16.1.0/24 [1/0] via 13.13.12.2
② S 172.16.1.0/26 [1/0] via 13.13.14.4
▶ 네트워크 비트가 더 큰 경로를 선택한다.
- 패킷 트레이서 실습(기본 설정에 아래 내용 추가)
기본설정은 시리얼에만 IP입력된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13.13.12.0/24 13.13.23.0/24
R1 ------------------------R2---------------------R3
@R1
int lo 172
ip addr 172.16.1.1 255.255.255.128 ==> 서브넷 128 로 입력
ip ospf network point-to-point ==>기본이 멀티라서 P-to-P로 설정하는 것.
router ospf 1
net 172.16.1.0 0.0.0.127 area 0
net 13.13.12.0 0.0.0.255 area 0
@R2 : 별다른 설정없이 OSPF만 설정
router ospf 1
net 13.13.12.0 0.0.0.255 area 0
net 13.13.23.0 0.0.0.255 area 0
@R3
int lo 172
ip addr 172.16.1.1 255.255.255.0
ip ospf network point-to-point
router ospf 1
net 172.16.1.0 0.0.0.255 area 0
net 13.13.23.0 0.0.0.255 area 0
이렇게 된 환경설정에서 R2에서 172.16.1.1로 핑을 날리면 R1, R2 어느쪽의 172.16.1.1 로 핑이 가는지 테스트
R2에서 ping 172.16.1.1 입력하면 ' !!!!! ' 이 나온다.
핑은 성공했지만 어느쪽인지는 모른다.
어느쪽으로 가는지 경로를 추적해보면,
#tracetroute 172.16.1.1
13.13.12.1 쪽으로 가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2) 신뢰도
Ex)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경로는 무엇인가?. 1
① S 172.16.1.0/24 [1/0] via 13.13.12.2
② R 172.16.1.0/24 [120/2] via 13.13.12.2, Serial1/0
신뢰도가 같으면 메트릭을 보고 적은값을 선택한다.
신뢰도를 변경해서 라우팅 테이블에 어느 프토토콜이 보이는지 확인해보자
현재 OSPF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R1.R2.R3 에 각각 rip 설정한다.
@R1
router rip
net 13.0.0.0
@R2
router rip
net 13.0.0.0
@R3
router rip
net 13.0.0.0
#sh ip ro 확인시, RIP은 120의 신뢰도 값을 보이고, OSPF[O] 는 110의 신뢰도 값을 보인다.
이때 RIP의 신뢰도를 105로 변경하면 테이블에는 어떤게 보일까 테스트를 진행해본다.
@R1
conf t
router rip
distance 105
@R2
conf t
router rip
distance 105
@R3
conf t
router rip
distance 105
위 컨피그 입력을 하면 각 라우터에서 sh ip ro 해보면 RIP 이 등록이 된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3) 메트릭
Ex) 다음 중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는 경로는 무엇인가?. 1
① R 172.16.1.0/24 [120/2] via 13.13.12.2, Serial1/0
② R 172.16.1.0/24 [120/4] via 13.13.14.4, Serial1/1
매트릭 까지 같으면 균등로드 분산을 한다.
- 패킷 트레이서를 통한 메트릭 실습
R2------------R3 사이에 이더넷을 연결하고 각각 IP설정
R2 e0/1 13.13.203.2 255.255.255.0
R3 e0/1 13.13.203.3 255.255.255.0
Router rip은 처음 13.0.0.0 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어서 안해도 된다.
이후
R1에서 sh ip ro 해보면 목적지까지 신뢰도는 같으나 매트릭값은 다르게 나타난다.
왜? 이더넷이 더 빠~~르니까. 그래서 이더넷 쪽으로 패킷 전송된다.
R 172.16.1.0 [105/232] s1/1 == 시리얼 포트쪽
R 172.16.1.0 [105/20] e0/1 == 이더넷 연결쪽
원래 RIP 신뢰도는 120 이지만 위에서 105로 변경해서 105로 보임.
메트릭은 값이 작아야 한다.
롱기스트 매치 룰이 제일 먼저 판단되고 신뢰도와 메트릭 중 신뢰도가 우선. 신뢰도가 같다면 메트릭 값으로 판단한다.
* 균등 로드 분산: 신뢰도와 매트릭이 같다면 두곳으로 나누어서 패킷을 처리한다.
- 메트릭이 동일한 최적 경로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균등 로드 분산 처리를 실시한다.
R 172.16.1.0/24 [120/2] via 13.13.12.2, Serial1/0
[120/2] via 13.13.14.4, Serial1/1
'IT > Network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IPv1 설정 및 특징 (0) | 2023.05.07 |
---|---|
라우팅 테이블 해석하는 방법 (0) | 2023.05.06 |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및 통신 방식 (0) | 2023.05.06 |
IP 라우팅 정의 및 IP 라우팅을 위한 요소, 라우터 스위칭 방식 (0) | 2023.05.04 |
패킷 트레이서 실습을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static routing protocol (1)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