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팅에서는 UDP와 TCP 프로토콜의 특징을 알아보고 비교를 통해 어디에 사용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TCP/IP 4 Layer와 OSI 7 계층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 비신뢰성,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 데이터그램 형태로 통신합니다.
- 헤더구조
1) Source Port : 송신 측 응용 프로세스 포트 번호 필드
2) Destination Port : 데이터를 받는 수신 측의 응용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한 포트 번호 필드
3) Checksum : 오류 검사를 위한 필드, 전송 중에 세그먼트가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Length : UDP 헤더와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 데이터 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2.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 TCP는 전달된 패킷에 대한 수신 측의 인증이 필요하다.
- TCP가 UDP보다 신뢰성이 높다.
- TCP가 UDP보다 Header부분이 크다.
- TCP가 UDP보다 속도가 느리다.
- TCP는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하고 UDP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전송한다.
▶▶ UDP는 실시간 데이터 or 동영상 전송에 사용된다.
3. TCP/IP 4 Layer Model
- 1 계층 - Network Interface Layer (OSI 7 계층의 1,2 계층)
- 2 계층 - Internet Layer (OSI 7 계층의 3 계층)) = IP
- 3 계층 - Transprot Layer (OSI 7 계층의 4 계층)) = TCP, UDP
- 4 계층 - Application Layer (OSI 7 계층의= HTTP, FTP, Telnet, SMTP, DNS (+ NFS, rlogin, TFTP, SNMP )
4. OSI 7 Layer
- 1 계층 - Physical Layer
- 2 계층 - Datalink Layer :물리적 링크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제공 / 동기화 / 에러제어(오류 검출 및 정정) / 흐름제 어 / 비트를 프레임화
- 3 계층 - Network Layer : 호스트들의 주소체계 설정 / 라우팅 / 경로선택 ▶ IP, ARP, DDP, IPX, ICMP
- 4 계층 - Transport Layer : TCP, UDP
- 5 계층 - Session Layer : 대화제어 / 연결 설정 종료 / 동기화
- 6 계층 - Presentation Layer : 데이터 전환 / 암호화 / 압축 / 그래픽 명령어 해석
- 7 계층 - Application Layer : FTP, SNMP, Telnet
5.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데이터 단위 : PDU
- 1 계층(물리 계층) : Bit(비트)
- 2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 Frame(프레임)
- 3 계층 (네트워크 계층) : Packet(패킷) ▶ 라우터
- 4 계층 (전송 계층) : Segment(세그먼트)
▶ 알파벳 순서 B F P S 순서로 기억.
※ 해당 포스팅은 필자가 국비지원 교육을 수강하며 필기한 내용이며 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 취득에도 도움이 될만한 이론을 정리한 글입니다.
※ 서브넷 마스크와 IP Address Class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2023.04.04 - [IT/Network (네트워크)] -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서브넷 마스크, IP Address Class)
'IT > Network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스위치 라우터 기본 구성 (0) | 2023.04.10 |
---|---|
패킷 트레이서를 통한 네트워크 쉽게 이해하기 - 기본 설정 (0) | 2023.04.09 |
IT 인프라 네트워크 기초 용어 및 간략 정리(정보처리기사/네트워크 관리사 자격증 필수) (0) | 2023.04.09 |
네트워크 기본 프로토콜 종류와 통신 기초 용어 (0) | 2023.04.05 |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 서브넷 마스크, IP Address Class (0) | 2023.04.04 |
댓글